본문 바로가기

개발 도구52

Git 명령어 도움말 실행 - 의미 & 사용법 더 알아보기(git help) Git을 공부하다 보면 git add, git commit, git status 등 다양한 명령어에 대해서 배우게 된다. 이러한 명령어들의 의미, 사용법 등을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우리가 특정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도움말을 찾아서 볼 수 있듯이, 터미널에서도 git 명령어에 대한 도움말을 실행할 수 있다. Git 명령어 도움말 보기 Git 명령어 도움말을 실행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git help [명령어] 또는 man git-[명령어] 를 입력해서 실행하면 되는데 [명령어] 자리에 git 뒤에 오는 명령어 알파벳을 입력하면 된다. 대괄호는 구분하기 쉽도록 사용한 것으로 실제 터미널에서는 함께 쓰지 않도록 한다. 쉽고 빠른 이해를 위한 예제 한가지! 변경한 파일을 Staging Are.. 2022. 9. 13.
Staging Area에 추가한 파일 되돌리기(git add 취소) Working Directory에서 파일을 변경하고 Staging Area에 추가까지 했는데, 잘못된 작업이어서 되돌리고 싶은 경우가 발생한다면... Staging Area에 넣은 파일은 되돌릴 수 있을까? 이번 포스팅에서는 git add 완료한 파일을 다시 되돌리는 방법(git add 취소)에 대해서 설명하려고 한다. 명령어 한 줄만 입력하면 된다. Staging Area 파일 되돌리기 - git add 취소하는 방법 상황을 설명하자면, downloads > gitstudy 디렉토리 안에 day1, day2 파일을 새로 생성했다. 그리고 git add 명령어를 사용해 두 개의 파일을 Staging Area에 추가했다. 그 다음 git status 명령어를 통해 해당 영역의 상태를 확인하면... 아래와 .. 2022. 9. 8.
Git 파일의 네가지 상태(Untracked, Staged, Unmodified, Modified) Git이 인식하는 파일의 상태에는 총 네가지가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Git 파일의 네가지 상태에 대해서 정리해보려고 한다. Git 파일의 네가지 상태 먼저 Git에서 관리하는 파일은 크게 Untracked와 Tracked 두가지로 나눌 수 있다. 말 그대로 Untracked는 Git에서 추적되지 않고 있는 파일이라는 의미이며, 생성 후에 한번도 git add 해주지 않은 상태의 파일을 가리킨다. Tracked 파일은 Git에서 추적하고 있는 파일이라는 의미인데, 이것은 다시 Staged, Unmodified, Modified - 세가지 상태로 나눌 수 있다. 아래에 각각의 상태를 설명해보도록 하겠다. Untracked - Git에서 추적하고 있지 않은 파일 - 생성 후에 한 번도 git add 한 적.. 2022. 9. 7.
Staging Area 상태 확인 & 변경된 파일 한꺼번에 git add 하기 지난 포스팅으로 Git의 세가지 작업영역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Staging Area에 어떤 폴더들이 추가되어 있는지 상태를 확인하고, 변경된 부분이 있는 파일들을 한꺼번에 Staging Area로 옮기는 명령어에 대해서 소개하려고 한다. Staging Area 상태 확인하는 방법 나의 mathtool 폴더에는 calculator.py 파일과 License 파일 - 총 두 개의 파일이 들어있다. 이 파일들의 내용을 둘 다 수정하였는데 그 중에서 calculator.py 폴더만 git add 명령어를 이용하여 Staging Area에 추가해 주었다. 그럼 이제 Staging Area에 제대로 파일이 들어갔는지 확인해보도록 하자. 명령어는 git status이다. git status git.. 2022. 9. 7.
Git의 세가지 작업영역(Working Directory, Staging Area, Repository) Git의 작업영역을 자세히 살펴보면 크게 3가지로 구분된다. 앞으로 Git을 이용해서 버전 관리를 하려면 이 개념을 반드시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Working Directory Git으로 관리하도록 지정된 디렉토리이다. 우리가 실제로 작업을 하는 공간이며 .git을 제외한 모든 영역이라고 보면 된다. 이 곳에서 작업한 파일들을 git add 명령어를 통해 Staging Area에 추가할 수 있다. 이 영역을 다른 말로 Working Tree 라고 부르기도 한다. Staging Area Working Directory에서 git add로 추가된 파일들이 존재하는 영역이다. Commit을 하게 되면 Staging Area에 추가된 파일들만 Repository에 반영된다. Working Directory에 .. 2022. 9. 5.
Repository(저장소) 만들고 Commit 하기 Git 설치를 마쳤다면 버전관리를 시작해보도록 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Repository(저장소)를 만들고 첫번째 Commit을 하는 방법까지 소개하도록 하겠다. Repository(저장소) 만들기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버전들을 보관할 저장소를 만드는 것이다. 이러한 저장소를 Repository라고 부른다. Repository를 만드는 방법은 간단하다. 먼저 터미널을 실행해서 버전관리를 하고 싶은 폴더 안으로 이동한다. 그 후에 git init 이라는 명령어를 실행해주면 된다. (끝!) git init 위의 캡처 이미지는 downloads 폴더 안의 MathTool 폴더 Repository를 만들라는 의미이다. (MathTool 폴더 버전관리 시작) 아래와 같이 ls -al을 입력하여 폴더 안의 목록.. 2022. 9. 4.
그누보드 게시물 작성시 메일 알림 오류 해결방법(알림 메일 오지 않을때) 테스트 메일이 오지 않는 현상을 어찌저찌 해결하고 나서 (아래 링크 참고) 설레는 마음으로 게시물을 작성했는데 아무리 기다려도 알림 메일이 오지 않았다 OTL 2021.06.24 - [개발자 꿈나무/그누보드5] - 그누보드 어드민 메일 테스트 오류 해결방법(테스트 메일 오지 않을때) 구글신님의 도움을 받아 몇시간만에 원인을 찾아 해결할 수 있었다. 찾아보니 여러가지 방법이 있는 것 같은데 내가 사용한 방법을 아래에 정리해두려고 한다. 그누보드 게시물 등록시 알림 메일이 오지 않을 때 가장 먼저 테스트 메일이 발송되는지 확인해보고, 테스트 메일은 잘 도착하는데 게시물 등록시에만 알림 메일이 오지 않을 때는 아래 방법을 시도해보면 좋을 듯 하다. 경로는 "public_html > skin > board > .. 2021. 6. 24.
그누보드 어드민 메일 테스트 오류 해결방법(테스트 메일 오지 않을때) 얼마 전 외주로 그누보드 솔루션을 사용한 홈페이지 하나를 제작했는데 관리자 메일이 오지 않아서 해결하느라 고생했다. 알고보면 간단하지만 방법을 모르면 오랫동안 고민하는 메일 테스트 오류 해결 방법을 공유하려고 한다. 그누보드 테스트 메일이 오지 않을 때 그누보드의 public_html 폴더 안에 보면 config.php 파일이 있을 것이다. 그 파일을 열고 이메일 세팅과 관련된 부분을 찾아야 한다. 내 파일에는 170번줄에 위치해 있었는데 이건 파일마다 다를테니 SMTP를 검색하는 것을 추천한다. 위와 같은 코드를 찾았다면 127.0.0.1 이라고 아이피가 입력된 부분을 삭제한다. (따옴표는 남김) 저장한 후에 다시 메일 테스트를 시도해 보았더니 [메일검사] 제목 이라는 내용의 메일을 받을 수 있었다. .. 2021. 6. 24.
VS code 미니맵 안 보이게 하기 텍스트 에디터의 종류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요즘 나는 VS code를 사용하고 있다. VS code는 Visual Studio Code의 약자로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개발한 편집기인데 다양한 플러그인을 제공하고 속도도 빠른 편이라 개인적으로 만족도가 높다. VS code를 사용하다 보면 우측에 미니맵이 표시된다. 가끔은 이 미니맵이 작업하는데 매우 거슬릴 때가 있어, 보이지 않게 숨기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려고 한다. 1. mac OS 기준으로 'Command + Shift + P' 를 누른다. 2. 텍스트창에 'minimap' 이라고 입력하면 아래에 'View: Toggle Minimap' 이라는 항목이 표시된다. 선택해주도록 하자! 끝이다. 미니맵이 사라졌을 것이다. (넘나 간단-_-;) 다시 미니맵을.. 2020. 11. 13.
Github 저장소 가져오기 얼마 전 새로운 프로젝트를 관리하게 되어, 오랜만에 깃허브에 들어갔다. (아아, 익숙한 나의 깃허브여!) clone 명령어를 사용하여 github 저장소를 처음으로 pc에 옮기는 방법을 소개하려고 한다. 먼저 깃허브 사이트의 해당 저장소 페이지에 들어간다. 우측에 Clone or download 라고 쓰여있는 초록색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뜬다. Clone with HTTPS 중간 부분의 링크를 복사하면 사이트에서 할 일은 끝! PC로 돌아가서 원하는 위치에 저장소를 복제할 폴더를 하나 생성한다. 폴더 이름은 아무거나 해도 무방하지만, 나는 보통 알아보기 쉽도록 프로젝트명으로 통일해주고 있다. 폴더를 만든 뒤에 터미널을 열고 해당 폴더로 이동한다. 그 후 아래와 같이 명령어를 입력하고 엔터를 .. 2020. 5.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