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45

CLI 전용 에디터 - Vim 사용 방법과 단축키 안내 GUI 환경에서는 파일 종류에 따라 Microsoft Word, VS code, PyCharm, 메모장 등 다양한 툴을 사용해서 파일 내용을 작성할 수 있다. 그런데 CLI 환경에서는 전용 텍스트 에디터를 사용한다. 그 중에서 가장 보편적인 것으로 Vim 이라는 에디터가 있다. Vim의 장점은 엄청 많은 기능과 단축키가 있다는 점이고, 단점은 모든 걸 마우스가 아닌 키보드로 해결해야 한다는 점이다. 나는 오래 전부터 Vim 에디터에 호기심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이번 강의 주제가 Vim 이라고 해서 기대를 많이 했다. (감동중) 그럼 이제부터 Vim을 사용하는 방법과 단축키에 대해서 정리해보도록 하겠다. Vim 실행하기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당연히 Vim 실행하기 이다. 터미널을 열고, vim .. 2023. 5. 20.
디렉토리와 파일 생성하기 - mkdir, touch 터미널에서 파일과 디렉토리를 살펴볼 때에 주로 사용하는 커맨드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디렉토리, 파일을 직접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하려고 한다. 디렉토리 생성할 때 mkdir 디렉토리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mkdir 이라는 커맨드를 사용하고, argument로 새로 만들 디렉토리명(경로 포함)을 주면 된다. 예제를 통해서 알아보자. 현재 coding_study 디렉토리 안에는 setting, study, text 세개의 디렉토리가 들어있다. 만약 여기에 login 이라는 디렉토리를 추가하고 싶다면 mkdir login 이라는 커맨드를 입력하고 실행하면 된다. 다시 ls 커맨드를 사용하여 내용물을 출력해 보았다. login 디렉토리가 잘 만들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mkdir 뒤에.. 2023. 5. 19.
ls 커맨드에서 자주 사용하는 옵션 터미널에서 디렉토리의 내용물을 알고 싶을 때 사용하는 커맨드는 ls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ls에서 자주 사용하는 옵션에 대해서 소개하도록 하겠다. a 옵션 a는 all(모두)의 약자이다. 유닉스 파일 시스템에는 숨겨진 파일이 있는데, 이름이 . 으로 시작하고 확장자가 없는 파일들이다. 이러한 파일들은 ls 커맨드를 입력하거나 GUI 툴을 이용할 때에는 보이지 않는다. 이 숨겨져 있는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를 확인하고 싶다면, a 옵션을 추가하여 ls -a 커맨드를 실행하면 된다. 아래 이미지는 동일한 디렉토리에서 -a 옵션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와 사용했을 때를 비교한 것이다. l 옵션 ls 커맨드를 사용해서 출력되는 결과물은 이름만 나오기 때문에 무엇이 디렉토리(폴더)이고 무엇이 파일인지 구별할 수가 없.. 2023. 5. 18.
위잇 딜라이트 랜덤박스 메뉴는 이런 겁니다! 점심시간에는 디자인팀 식구들과 함께 라운지에서 도시락을 먹는다. 집에서 도시락을 싸 오시는 분들도 있고 (대단...) 샐러드나 도시락 배송업체에서 주문을 하기도 하고, 또 이도저도 다 귀찮을 때는 회사 맞은편 샌드위치 집에서 토스트를 포장한다. 나는 보통 위잇딜라이트라는 도시락 배송 업체에서 도시락을 주문하는데, 이번에 신메뉴가 생겼다. What's in my weeatbox? 메뉴를 알려주지 않아? 랜덤 박스인가? 그럼 당연히 이거지~ 그리고 드디어 랜덤 메뉴를 먹는 날이 되었는데... 음... 영양 가득 훈제오리새싹비빔밥, 오늘의 석류, 샘표 미소 된장국이 들어 있었다. 맛은 있었지만 도시락을 주문했던 책임리더님과 나는 좀 실망... 둘 다 똑같은 메뉴가 들어 있었기 때문에...🥲 운 좋으면 스테이크.. 2023. 5. 16.
사무실에서 꽃 보며 일하기 시간이 지나고 나이가 들며, 어렸을 때는 하지 않던 행동을 하게 된다. 나에게 생긴 가장 큰 변화 두 가지는 아래와 같다🤔 첫번째, 버섯을 먹게 됨, 심지어 넘나 좋아함 두번째, 꽃을 좋아함, 발견하면 사진부터 찍음 특히 두번째... 예전에는 비싸고 예쁜 쓰레기라고 부르던 생화가 요즘은 세상 그렇게 예쁠 수가 없다. 그래서 기념일은 아니지만 늘 옆에 꽃을 두고 일하고 싶어서, 꽃 정기구독을 고려하고 있다. 인터넷에 꽃 정기구독이라는 키워드로 검색을 하면 꾸까, 꽃집청년들, 데일로즈, 어니스트플라워, 플립플라워, 모이 등 정말 다양한 업체가 나온다. (결정장애...) 일단 체험식으로 도장깨기를 한 후에 가장 마음에 드는 업체를 선정할 예정이다. 요즘 이용해보고 있는 업체는 꾸까라는 곳인데, 최초로 꽃 정기.. 2023. 5. 15.
Top Project Team 선정 - 판교 호텔 뷔페 메리어트 모모카페 내가 다니는 회사에서는 올해부터 분기별로 Top Performer과 Top Project Team을 선정한다. 각각 개인별, 팀별로 지원서를 제출하고 Top Performer의 경우에는 책임리더와 대표이사가, Top Project Team 의 경우에는 전사 투표를 통해 최종 결정을 한다. Top Performer는 최대 5인, 각 200만원의 상금이 주어지고 Top Project Team에게는 구성원당 1매의 호텔 뷔페 식사권이 주어진다. 나는 올해 1분기에 대시보드를 만드는 프로젝트에 참여했는데, 이번에 해당 팀이 Top Project Team으로 선정되어 다같이 호텔 뷔페를 먹으러 판교 메리어트 모모카페에 다녀왔다. 판교 메리어트 모모카페 주중 점심 뷔페 운영시간 및 금액 [운영시간] 조식 뷔페 : .. 2023. 5. 13.
절대 경로 vs 상대 경로 오늘은 절대 경로와 상대 경로의 개념에 대해서 설명하려고 한다. 이미 다른 포스팅에서도 한 번 다룬 기억이 있는 것 같지만, 유닉스 커맨드를 공부할때도 유용하게 사용되는 개념이다. 경로를 argument로 받는 모든 커맨드에 절대 경로, 상대 경로를 둘 다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절대 경로 절대 경로란, 루트 디렉토리를 기준으로 어떤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고유한 경로를 표시하는 것을 말한다. 경로가 길어질수록 불편해지는 단점이 있다. ex) home/heina/documents/study/codeit/20230509 상대 경로 상대 경로란, 현재 자신이 위치해 있는 디렉토리 기준으로 경로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현재 디렉토리는 . 으로 표시하며, 상위 디렉토리는 .. 으로 표시한다. ex) ../co.. 2023. 5. 9.
파일과 디렉토리 살펴볼 때 사용하는 기본 커맨드(pwd, cd, ls) 파일과 디렉토리를 살펴볼 때 사용하는 기본 커맨드에 대해서 알아보자! 모든 공부가 다 그렇겠지만 코딩 공부는 특히, 직접 해보는 것과 눈으로만 보는 것이 천지 차이다. 오류 투성이더라도 실제로 작성해서 결과를 보는 것이 기억에 오래 남는다. 이번 포스팅은 맥북에 기본으로 설치되어 있는 터미널 프로그램만 실행하면 누구나 직접 해볼 수 있다. 함께 따라하면서 공부하는 것을 추천한다. 터미널 프로그램을 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초록색 텍스트로 표시된 부분(zoe.lee@zoeleeui-MacBookPro) 옆의 '~' 표시는 우리가 현재 위치해 있는 디렉토리를 의미한다. 처음 터미널을 시작하면 기본으로 home directory 에서 시작하는데, 현재 위치해 있는 디렉토리를 working direc.. 2023. 5. 8.
서브라임 텍스트(Sublime Text) 편집기 설치하기 서브라임 텍스트(Sublime Text)라는 심플하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편집기가 있다고 해서 설치해 보았다. 원래는 VS Code를 사용하고 있는데, 사실 조금 질리기도 했고(응?) 나는 원래 이것 저것 다양하게 써보고 비교하는 걸 좋아한다. 이 소스코드 편집기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보자면, 파이썬 API 용으로 작성된 사유 크로스 플랫폼 소스 코드 편집기라도 한다.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 마크업 언어를 네이티브로 지원한다. 또한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기능 확장이 가능하다. 서브라임 텍스트 주요 기능 - Goto Anything : 특정 파일, 심볼, 줄로의 빠른 이동 - Command Palette : 특정 명령의 빠른 키보드 발동을 위한 적응형 일치 사용 - 동시 편집 .. 2023. 5. 3.
정보와 의미를 담고 있는 html 태그들(meta, link, title, 시맨틱 태그) 의미를 담고 있는 html 태그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면 검색 최적화나 웹 접근성 등에 도움이 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정보와 의미를 담고 있는 html 태그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안의 , , 태그는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태그이다. 태그 안에 컴퓨터가 읽고 사용하는 메타 데이터(meta data)가 담겨 있는데, 메타 데이터는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라고 할 수 있다. (말이 어렵...) 페이지 제목을 나타내는 , css 파일이나 파비콘 이미지 등을 불러오는 , 그리고 각종 태그 등이 이에 속한다. 첫번째 줄에 있는 meta charset은 utf-8 인코딩을 사용해서 올바른 문자를 보여주게 하고, 네번째 줄의 og는 오픈 그래프(open graph)의 약자이다. 카카오, 페이스북, 네이.. 2023. 5.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