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코딩강의추천5

3년째 코드잇으로 온라인 코딩 강의 듣는 중(솔직 후기) 내가 코드잇을 알게 된 건 인스타그램의 코딩동댕 유치원 챌린지에서였다. 귀여운 코드잇 캐릭터 굿즈가 너무 마음에 들었던 나는 홀린 듯 신청을 했고, 챌린지 달성을 위해 열심히 강의를 들었다. 그런데 강의를 듣다 보니 내가 아직까지 듣던 타업체의 강의들과는 많이 달랐다. 이거 쉽고 재밌잖아?나의 직업은 프로덕트 UX/UI 디자이너인데, 직업적 이해를 높이고, 개발자와의 소통을 위해 꾸준히 코딩 강의를 들으려고 노력하고 있었다. 그런데 코딩 강의는 조금 듣다가 갑자기 난이도가 어려워진다던지 아니면 1강부터 너무 심각할정도로(!) 재미가 없어서 번번히 실패를 하고 있었다. 그렇게 나의 끈기와 적성을 탓할 때쯤에 코드잇 강의를 접했는데, 아니 웬걸, 설명도 너무 쉽고 무엇보다 강의가 재미있었다. 특히 다른 업체.. 2024. 6. 5.
코드잇 학습일기 Day7. Promise 객체와 Promise Chaining 벌써 코드잇 학습일기 챌린지 마지막 주가 되었다. 시간이 정말 빠른 것 같다. 그리고 한달이 다 되어가는데 아무리 회사 업무가 바쁘다지만 나는 토픽 하나도 제대로 끝내지 못하고... 그렇다고 자바스크립트 웹 기본기를 잘 다졌냐고 물으면 그것도 자신이 없고... 솔직히 조금 속상하다. 그래도 포기하지 않으면 언젠가는 잘 할 수 있게 되리라 믿으며, 오늘도 코딩 인강 시작! fetch 함수는 promise 객체를 리턴한다고 한다. 그렇다면 promise 객체는 무엇일까? Promise 객체란? 어떤 작업에 대한 '상태 정보'를 가지고 있는 객체이다. 예를 들어 fetch 함수를 보내면 성공할 수도 있고, 실패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정보들이 promise 객체에 저장된다. promise 객체는 3개의 상태 정.. 2023. 2. 20.
코드잇 학습일기 day4. 각각의 Request 보내는 방법 오늘은 출근길에 코드잇 강의를 7개 들었다. 그리고는 '이따가 출근해서 시간날 때 블로그에 학습일기 써야지' 하고 생각했는데, 이것저것 각종 업무들을 처리하다보니 퇴근시간이 10분밖에 남지 않았다. 오늘은 저녁에 일정이 있어서 퇴근시간을 꼭 지켜야 하는 상황... 그래서 각각의 Request 보내는 방법만 간략하게 정리하고, 추가로 알고있으면 좋은 개념들은 다음 포스팅에 다시 쓰는걸로...! GET Request 보내기 이제 GET Request 보내는 방법은 넘나 익숙해서 안보고도 쓸 수 있을 것 같다. fetch('url') .then((response) => response.text()) .then((result) => { console.log(result); }); POST Request 보내기 .. 2023. 2. 9.
코드잇 학습일기 Day1. 개발자 도구, 자바스크립트 fetch 함수 코딩 강의 사이트인 코드잇에서 "오늘도 코드잇 학습일기 챌린지"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 평소에 코드잇을 애용하며 1일 1강의를 듣는 나에게는 넘나 참여하기 쉬운 이벤트~ https://blog.codeit.kr/post/63d1de818120e3265cbbfb52 코드잇 :: 오늘도 코드잇 학습일기 챌린지 2023년도 어느덧 1달이 벌써 다 지나갔네요. 새해 목표였던 코딩 공부는 모두 잘하고 계신가요? 여러분이 코드잇과 함께 꾸준히 공부하며 코딩 습관 만들고 원하는 목표 모두 이루기를 응원하는 blog.codeit.kr 그래서 2월부터 공부하려고 계획하고 있던 '자바스크립트 웹 개발 기본기' 강의로 학습일기를 써보려고 한다. 브라우저 개발자 도구에서 자바스크립트 코드 실행하기 크롬 브라우저에서 개발자 .. 2023. 1. 31.
HEAD와 브랜치의 관계(개념, 원리) HEAD와 브랜치의 관계, 더 나아가 git reset의 개념에 대해서 추가로 알아보도록 하자. 글로만 쓰는 것보다 이미지와 함께 설명하면 더 좋을 듯 해서 피그마로 후다닥 그려 보았는데...🥲 이해에 도움이 될지 모르겠다. 브랜치(branch)의 개념 브랜치는 커밋을 가리키는 포인터이다. 아래 이미지와 같이 세번째 커밋을 한 후 premium 브랜치를 새로 만들어서, main 브랜치와 각각의 작업을 수행했다면 main 브랜치와 premium 브랜치는 각각 다른 커밋을 가리키는 포인터인 것이다. 헤드(HEAD)의 개념 HEAD는 이러한 브랜치를 가리키는 포인터이다. HEAD가 가리키는 커밋에 따라 working directory가 달라진다. 따라서 아래 이미지의 경우, HEAD가 main 브랜치를 가리키.. 2022. 1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