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스크립트기초3 자바스크립트 숫자형 사칙연산 자바스크립트 숫자형 사칙연산을 해 보았다. 얼마 전 파이썬 사칙연산 강의를 들었는데 명령어를 제외하고는 거의 다 겹치는 부분이라서 부담 없이 진행할 수 있었다. 우리가 아는 덧셈, 뺄셈, 나눗셈 등 연산기호가 동일해서 거창하게 설명할 것도 없다. 굳이 덧붙여 보자면 퍼센트 기호(%)를 사용해서 a % b라고 쓰면 a에서 b를 나눈 나머지값, 별표(*) 기호를 두번 쓰면 거듭제곱의 의미라는 것 정도일 듯 하다. 여러가지 연산 기호가 동시에 사용되었다면 곱셈과 나눗셈 먼저, 괄호가 있다면 괄호 먼저 계산하는 사칙연산의 기본 규칙도 그대로 따른다. 더 쉽고 빠른 이해를 위해 아래에 예제를 첨부한다. console.log(1 + 8); // 덧셈, 결과값 9 console.log(5 / 2); // 나눗셈, 결.. 2021. 8. 13. 자바스크립트에서 태그 선택하기 구글에서 자바스크립트 태그 선택할 때 검색 tip Javascript select tag by css selector Element = document.querySelector(selectors); 예시) var el = document.querySelector(".myclass"); Javascript element style Javascript style background color → css 태그와 자바스크립트 태그는 다를 수 있음 (background-color vs backgroundColor) 활용해보자! → night 와 day 라고 되어 있는 버튼이 2개 생성됨 → night 클릭시 body 부분의 배경이 검정, 폰트가 흰색으로 변경(야간모드) → day 클릭시 body 부분의 배경이 흰.. 2020. 6. 7. 변수와 대입 연산(variable vs constant) / 변수를 사용하는 이유 위와 같은 코드에서 x와 y는 변수(variable)이고 1은 연결해주는 '='는 대입 연산자이다. x는 대입 연산자에 의해서 값이 바뀔 수 있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변수'이지만 숫자 1은 항상 동일하기 때문에 항상 상(常)자를 사용하여 '상수'라고 부른다. 따라서 상수인 1에 2를 대입하려고 하면 (1=2;) 오류가 발생한다. 변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아무말 대잔치 문장이 있다. 예시로 든 문장은 짧지만 만약에 아주 긴 문장이 있고, 해이나가 1억번 사용되었다고 가정한다. 만약 문장 내의 '해이나'라는 단어를 모두 'heina'로 바꾸고 싶다면... 난감하다. 때문에 name 값으로 '해이나'를 인식시킨 후에 "+name+"을 사용하여 문장을 작성한다. -> 실행을 유보하고 싶을 때는 shift 키.. 2020. 5. 2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