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바스크립트21

코드잇 학습일기 Day8. rejected 상태에서 실행하는 콜백, then 메소드 이해 코딩인강 코드잇의 챌린지 이벤트, 마지막 학습일기 포스팅이다. 회사를 다니며 학습일기를 써야한다는 게 부담스럽게 느껴질 때도 있었지만 그래도 덕분에 하루에 다섯개씩 강의를 들을 수 있었다. 왠지 마지막이라고 하니까 시원섭섭한 기분이 든다. 나중에 회사 업무에 여유가 생기면 꼭 이벤트가 아니더라도 셀프 챌린지를 해봐도 좋겠다는 생각이다. 오늘 공부한 내용은 rejected 상태에서 실행할 콜백을 지정하는 방법과 then 메소드에 관한 것이었다. 자바스크립트를 공부하는 분들을 위해 포스팅으로 정리해 보도록 하겠다. Promise 객체가 Rejected 상태일 때 실행하는 콜백 지정 Promise 객체가 갖는 상태값은 pending, fulfilled, rejected - 총 3개이다.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2023. 2. 22.
코드잇 학습일기 Day7. Promise 객체와 Promise Chaining 벌써 코드잇 학습일기 챌린지 마지막 주가 되었다. 시간이 정말 빠른 것 같다. 그리고 한달이 다 되어가는데 아무리 회사 업무가 바쁘다지만 나는 토픽 하나도 제대로 끝내지 못하고... 그렇다고 자바스크립트 웹 기본기를 잘 다졌냐고 물으면 그것도 자신이 없고... 솔직히 조금 속상하다. 그래도 포기하지 않으면 언젠가는 잘 할 수 있게 되리라 믿으며, 오늘도 코딩 인강 시작! fetch 함수는 promise 객체를 리턴한다고 한다. 그렇다면 promise 객체는 무엇일까? Promise 객체란? 어떤 작업에 대한 '상태 정보'를 가지고 있는 객체이다. 예를 들어 fetch 함수를 보내면 성공할 수도 있고, 실패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정보들이 promise 객체에 저장된다. promise 객체는 3개의 상태 정.. 2023. 2. 20.
코드잇 학습일기 day5. 자바스크립트 Status Code와 Content-Type 헤더 지난 포스팅에서는 Request(요청)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Response(응답)에 대해서 정리해보려고 한다. Response의 구조도 Head, Body로 이루어져있는데, Head에는 Response에 대한 부가 정보가 담겨 있고, Body에는 실제 데이터(주로 JSON 데이터)가 담겨 있다. Status Code란 무엇인가? 웹 브라우저의 개발자 도구 > Network 탭 > 특정 항목 선택 > General 부분에서 Status Code를 찾을 수 있다. Status Code는 우리말로 '상태 코드'라고 한다. 아래 이미지의 경우 Status Code: 200 이라고 되어있는데, 200은 정상 처리를 했다는 의미이다. 만약 정상 처리되지 못했다면 다른 숫자를 보게 된다. 대표적인.. 2023. 2. 13.
코드잇 학습일기 day4. 각각의 Request 보내는 방법 오늘은 출근길에 코드잇 강의를 7개 들었다. 그리고는 '이따가 출근해서 시간날 때 블로그에 학습일기 써야지' 하고 생각했는데, 이것저것 각종 업무들을 처리하다보니 퇴근시간이 10분밖에 남지 않았다. 오늘은 저녁에 일정이 있어서 퇴근시간을 꼭 지켜야 하는 상황... 그래서 각각의 Request 보내는 방법만 간략하게 정리하고, 추가로 알고있으면 좋은 개념들은 다음 포스팅에 다시 쓰는걸로...! GET Request 보내기 이제 GET Request 보내는 방법은 넘나 익숙해서 안보고도 쓸 수 있을 것 같다. fetch('url') .then((response) => response.text()) .then((result) => { console.log(result); }); POST Request 보내기 .. 2023. 2. 9.
코드잇 학습일기 Day1. 개발자 도구, 자바스크립트 fetch 함수 코딩 강의 사이트인 코드잇에서 "오늘도 코드잇 학습일기 챌린지"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 평소에 코드잇을 애용하며 1일 1강의를 듣는 나에게는 넘나 참여하기 쉬운 이벤트~ https://blog.codeit.kr/post/63d1de818120e3265cbbfb52 코드잇 :: 오늘도 코드잇 학습일기 챌린지 2023년도 어느덧 1달이 벌써 다 지나갔네요. 새해 목표였던 코딩 공부는 모두 잘하고 계신가요? 여러분이 코드잇과 함께 꾸준히 공부하며 코딩 습관 만들고 원하는 목표 모두 이루기를 응원하는 blog.codeit.kr 그래서 2월부터 공부하려고 계획하고 있던 '자바스크립트 웹 개발 기본기' 강의로 학습일기를 써보려고 한다. 브라우저 개발자 도구에서 자바스크립트 코드 실행하기 크롬 브라우저에서 개발자 .. 2023. 1. 31.
자바스크립트 숫자형 사칙연산 자바스크립트 숫자형 사칙연산을 해 보았다. 얼마 전 파이썬 사칙연산 강의를 들었는데 명령어를 제외하고는 거의 다 겹치는 부분이라서 부담 없이 진행할 수 있었다. 우리가 아는 덧셈, 뺄셈, 나눗셈 등 연산기호가 동일해서 거창하게 설명할 것도 없다. 굳이 덧붙여 보자면 퍼센트 기호(%)를 사용해서 a % b라고 쓰면 a에서 b를 나눈 나머지값, 별표(*) 기호를 두번 쓰면 거듭제곱의 의미라는 것 정도일 듯 하다. 여러가지 연산 기호가 동시에 사용되었다면 곱셈과 나눗셈 먼저, 괄호가 있다면 괄호 먼저 계산하는 사칙연산의 기본 규칙도 그대로 따른다. 더 쉽고 빠른 이해를 위해 아래에 예제를 첨부한다. console.log(1 + 8); // 덧셈, 결과값 9 console.log(5 / 2); // 나눗셈, 결.. 2021. 8. 13.
자바스크립트 함수 선언과 호출 변수가 값을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면, 함수는 명령을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파이썬에서 함수를 선언할 때는 def를 사용했는데 자바스크립트에서는 function을 사용한다. (앍 헷갈려...) 자바스크립트 함수를 선언하고 호출하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하도록 하겠다. 함수 선언 함수 선언의 구조는 아래와 같다. function 함수명() { 명령; 명령; }; function 뒤에 원하는 함수명을 입력한 뒤에 소괄호, 중괄호를 순서대로 써주면 된다. 중괄호 안에는 명령어들을 입력하는데 보통 한 줄에 명령 한 개를 입력한다. // 함수 선언 function hello() { console.log('Hello, world!'); console.log('Nice to meet you.'); }; 함.. 2021. 7. 16.
자바스크립트 좋은 변수명 짓기 & 스타일 가이드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쓰고 변수명을 지을 때에 도움이 될 만한 몇가지 팁을 공유하려고 한다. - 자바스크립트 식별자는 알파벳 대소문자, 밑줄(_), 달러기호($), 숫자를 사용한다. - 식별자는 알파벳 대소문자를 구별하며, 첫글자로 숫자는 사용할 수 없다. - 예약어(let, if, for 등)는 변수명으로 사용할 수 없다. - 의미없는 변수명(a, b, c 등)은 되도록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 변수 이름은 첫번째 글자는 소문자, 띄어쓰기가 있는 각 단어의 첫 문자는 대문자로 표기(camelCase)한다. - 코드 들여쓰기는 2칸 공백을 사용한다. 다른 건 다 그렇다치고 파이썬 기초 강의를 듣고 나니 변수 표기법과 들여쓰기가 파이썬과 달라서 혼란스러워 하는 중이다. 코드 들여쓰기의 경우 파이썬은 4칸 .. 2021. 7. 14.
자바스크립트 변수 var, let, const 차이 자바스크립트 강의를 들으면서 궁금했던 점이 한가지 있었다. 나는 분명히 예전에 변수 선언을 var로 배웠는데 강의에서는 let을 사용한다는 거였다. 그래서 검색해보니 변수 선언에는 var, let, const 세가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각각 차이점이 있었다. 이 포스팅에서는 그 차이점에 대해서 정리해두려고 한다. var 예전에는 자바스크립트의 변수 선언이 var로만 가능했었다. var로 변수 선언을 했을 때의 가장 큰 특징은 중복 선언이 가능하다는 점인 것 같다. var a = 100; console.log(a) // 결과값 100 var a = 200; console.log(a) // 결과값 200 var a = 300; console.log(a) // 결과값 300 var를 사용하면 위와 같이 중복.. 2021. 7. 14.
자바스크립트 변수 선언하기 자바스크립트에서도 반복되는 데이터들을 변수 선언해서 좀 더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 변수 선언하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하려고 한다. 과일가게에서 사과는 1,000원 / 망고는 1,500원 / 멜론은 2,500원에 판매하고 있다. 사과 2개, 망고 1개, 멜론 1개를 구입했을 때 아래와 같이 총 금액을 구할 수 있다. console.log(1000 * 2 + 1500 + 2500) 이러한 경우 총 금액을 구할 수는 있지만, 나중에 과일 종류가 많아지게 되면 금액을 일일이 찾아서 입력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또 오탈자가 발생하거나 금액을 착각했을 때 전부 찾아서 수정해주는 것이 어렵다. 이럴 때에 변수를 선언하여 과일 금액과 총 금액을 조금 더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 // 변수 선언 let appleP.. 2021. 7.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