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발공부3

반복문에 배열 활용하기 반복문에 배열을 활용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Loop & Array Co workers egoing heina luna yunsisters 직원(co workers)이 이고잉, 해이나, 루나, 윤시스터즈 - 총 4명이 있다. 만약 co workers의 목록이 일억개이고 가 매우 빈번하게 수정되는 긴 코드라면 유지보수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을 것이다. Loop & Array Co workers 위와 같이 배열을 사용하여 직원 명단을 반복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만약 멤버가 한명 추가되면, coworkers에 요소를 추가하고 반복문의 조건값도 i < 5 로 수정하면 된다. 만약 멤버가 두명 삭제된다면 빈 값 만큼 undefined로 추출된다. 매번 멤버의 수를 맞추어 주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다. 데이터가 바뀌.. 2020. 8. 18.
배열(Array) 배열(Array)이란? 프로그래밍을 하면 성격이 모두 다른, 굉장히 많은 데이터를 다루게 됨 -> 점점 늘어나면 감당이 안됨 -> 데이터 중에 서로 연관되어 있는 것들을 잘 정리정돈해서 담아두는 수납상자 = 배열 (Array) 좀 더 자세한 설명이 필요한 듯 하여 구글 서치를 해 보았다. 더보기 배열은 같은 종류의 데이터를 많이 다뤄야 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자료 구조로서 같은 타입의 변수들로 이루어진 유한 집합으로 정의된다. 배열을 구성하는 각각의 값을 배열 요소(element)라고 하며, 배열에서의 위치를 가리키는 숫자는 인덱스(index)라고 한다. 인덱스는 언제나 0부터 시작하며, 0을 포함한 양의 정수만을 가진다. 활용해보자! Array Syntax - coworkers 안에.. 2020. 8. 6.
변수와 대입 연산(variable vs constant) / 변수를 사용하는 이유 위와 같은 코드에서 x와 y는 변수(variable)이고 1은 연결해주는 '='는 대입 연산자이다. x는 대입 연산자에 의해서 값이 바뀔 수 있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변수'이지만 숫자 1은 항상 동일하기 때문에 항상 상(常)자를 사용하여 '상수'라고 부른다. 따라서 상수인 1에 2를 대입하려고 하면 (1=2;) 오류가 발생한다. 변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아무말 대잔치 문장이 있다. 예시로 든 문장은 짧지만 만약에 아주 긴 문장이 있고, 해이나가 1억번 사용되었다고 가정한다. 만약 문장 내의 '해이나'라는 단어를 모두 'heina'로 바꾸고 싶다면... 난감하다. 때문에 name 값으로 '해이나'를 인식시킨 후에 "+name+"을 사용하여 문장을 작성한다. -> 실행을 유보하고 싶을 때는 shift 키.. 2020. 5.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