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ository2 Git의 세가지 작업영역(Working Directory, Staging Area, Repository) Git의 작업영역을 자세히 살펴보면 크게 3가지로 구분된다. 앞으로 Git을 이용해서 버전 관리를 하려면 이 개념을 반드시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Working Directory Git으로 관리하도록 지정된 디렉토리이다. 우리가 실제로 작업을 하는 공간이며 .git을 제외한 모든 영역이라고 보면 된다. 이 곳에서 작업한 파일들을 git add 명령어를 통해 Staging Area에 추가할 수 있다. 이 영역을 다른 말로 Working Tree 라고 부르기도 한다. Staging Area Working Directory에서 git add로 추가된 파일들이 존재하는 영역이다. Commit을 하게 되면 Staging Area에 추가된 파일들만 Repository에 반영된다. Working Directory에 .. 2022. 9. 5. Repository(저장소) 만들고 Commit 하기 Git 설치를 마쳤다면 버전관리를 시작해보도록 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Repository(저장소)를 만들고 첫번째 Commit을 하는 방법까지 소개하도록 하겠다. Repository(저장소) 만들기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버전들을 보관할 저장소를 만드는 것이다. 이러한 저장소를 Repository라고 부른다. Repository를 만드는 방법은 간단하다. 먼저 터미널을 실행해서 버전관리를 하고 싶은 폴더 안으로 이동한다. 그 후에 git init 이라는 명령어를 실행해주면 된다. (끝!) git init 위의 캡처 이미지는 downloads 폴더 안의 MathTool 폴더 Repository를 만들라는 의미이다. (MathTool 폴더 버전관리 시작) 아래와 같이 ls -al을 입력하여 폴더 안의 목록.. 2022. 9. 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