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사용법3 중요한 커밋(commit)에 태그(tag)넣는 방법 커밋을 하면서 메세지를 작성하긴 하지만 그 중에서도 중요한 커밋에 추가로 태그를 달아놓을 수 있다. 이제부터 커밋에 태그(tag)다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려고 한다. 아래 커맨드를 사용하면 손쉽게 태그 관리를 할 수 있다. git tag 태그이름 커밋아이디 # 커밋아이디에 태그 달기 git tag # 프로젝트에 있는 모든 태그 보기 git show 태그이름 # 태그에 해당하는 커밋 정보 보기 (예제) git history를 통해서 아직까지의 커밋 리스트를 살펴보았다. 이제부터 위에서 2번째, 3번째 커밋에 각각 태그를 달 예정이다. 태그명은 특별히 생각나는 것이 없으므로 tag01, tag02으로 하기로 했다. git tag tag01 c188 하고 git tag tag02 28dd 명령어를 적어서 순서.. 2022. 11. 9. 두 커밋 사이의 차이점 비교하기(git diff) 이번 포스팅에서는 두 개의 커밋 사이에 내용이 어떻게 바뀌었는지, 그 차이점을 비교해보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려고 한다. 먼저 지난 포스팅에서 aliasing했던 단축 커맨드(git history)를 사용하여 한 줄 요약된 커밋 히스토리를 살펴보았다. (아래 이미지 참고) 예제로 설명하는 것이 이해하기 편하니까! 위의 커밋 리스트 중에서 Create README.md Add the info of calculator.py in README.md 라는 메세지가 적혀있는 두 개의 커밋을 비교해보려고 한다. (위에서부터 4번째, 6번째) 그럴 때에 사용하는 명령어가 바로 diff이다. 차이점을 의미하는 영어단어 difference를 떠올리면 암기하기 쉬울 것이다. git diff 이전커밋아이디 다음커밋아이디 커.. 2022. 10. 25. Git 명령어 도움말 실행 - 의미 & 사용법 더 알아보기(git help) Git을 공부하다 보면 git add, git commit, git status 등 다양한 명령어에 대해서 배우게 된다. 이러한 명령어들의 의미, 사용법 등을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우리가 특정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도움말을 찾아서 볼 수 있듯이, 터미널에서도 git 명령어에 대한 도움말을 실행할 수 있다. Git 명령어 도움말 보기 Git 명령어 도움말을 실행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git help [명령어] 또는 man git-[명령어] 를 입력해서 실행하면 되는데 [명령어] 자리에 git 뒤에 오는 명령어 알파벳을 입력하면 된다. 대괄호는 구분하기 쉽도록 사용한 것으로 실제 터미널에서는 함께 쓰지 않도록 한다. 쉽고 빠른 이해를 위한 예제 한가지! 변경한 파일을 Staging Are.. 2022. 9. 1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