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사용방법2 머지 기록 없이 깔끔한 커밋 히스토리 관리하기(git rebase) 커밋 히스토리에 머지 기록 없이 코드를 합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A 브랜치와 B 브랜치가 있다. 두 브랜치에서 각각 작업을 한 내역이 있는데 이걸 A 브랜치에 합치려고 한다. 두가지 방법이 있는데 그 첫번째는 A 브랜치에서 B 브랜치를 머지하는 방법이다. git merge B브랜치명 그런데 이렇게 하면 커밋 히스토리에 머지를 한 내용이 남는다. 만약 머지한 내용을 남기고 싶지 않고 원래 한 브랜치에서 작업한 것처럼 보이게 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커밋 히스토리를 깔끔하게 관리할 수 있는 git rebase 그럴 때에는 rebase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git rebase [합치고 싶은 브랜치명] rebase는 단어 그대로 베이스를 다시 설정한다는 의미이다. 위의 사진처럼 커맨드를 실행시킨 .. 2022. 12. 13. 최신 커밋(commit) 내용 수정하기(커밋 메세지 수정 아님) 커밋 메세지를 입력하고 커밋을 모두 완료했는데, 오탈자를 발견하거나 혹은 내용을 수정하고 싶을 때가 있을 것이다. 물론 내용을 변경한 후에 다시 커밋을 해도 되지만 그러면 불필요한 커밋 히스토리가 남게 된다. 깃에서는 본인이 한 최신 커밋 내용을 수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데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 방법에 대해 설명해보려고 한다. git log --pretty=oneline 명령어를 사용해서 아직까지 했던 커밋 히스토리를 살펴 보았다. (이 명령어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요기 클릭 → https://heina-fantasy.tistory.com/268) 지금부터 아래의 히스토리 중, 가장 마지막에 커밋한 Update commit_test.txt의 내용을 수정해 볼 예정이다. 먼저 해당 파일.. 2022. 10. 1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