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공부4 git reset 되돌리고 싶을 때 커밋 리스트 확인하기(git reflog) 프로젝트를 시작한 후에 이런 저런 작업들을 해서 많은 커밋들이 쌓였다. 작업을 하다가 특정 시점으로 돌아가고 싶어서 git reset 명령어를 실행시켰는데, 그것이 실수였다면... 다시 예전으로 돌아가야 한다면...🫠 그럴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 먼저 아직까지 한 커밋리스트를 살펴 보았다. git reset 되돌리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일단 첫번째 커밋인 Create calculator.py and Lisence 으로 돌아가보도록 하겠다. (테스트를 하면서도 되돌리는 걸 실패할까봐 무서운 코린이...😦) 되돌리고 싶은 첫번째 커밋 아이디를 확인한 후에 git reset --hard 1ec2 라는 명령어를 실행시켰다. 그리고 다시 커밋 히스토리를 확인해 보았다. 엌... 다 없어져 버렸어... 일단 r.. 2022. 12. 10. Remote Repository 내용을 merge하지 않고 가져오기(git fetch) git pull은 리모트 레포지토리 내의 해당 브랜치가 가리키고 있는 모든 커밋을 로컬 레포지토리로 가져와서 머지를 하는 명령어이다. 그런데 간혹 아래와 같은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리모트 레토지토리의 브랜치 내용을 머지하기 전, 점검해야 할 필요가 있다. 리모트 레포지토리의 브랜치 내용과 로컬 레포지토리에서 직접 작성한 코드를 비교해서 오류가 없는지 검토해야 한다. 그럴 때 리모트 레포지토리에 있는 내용을 무조건 머지하는 것이 아니라, 일단 가져와서 내용을 살펴보고 머지를 할 수 있는 명령어가 있다. 아래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git fetch fetch는 우리말로 '가져오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머지를 하지는 않고, 리모트 레포지토리에 있는 내용을 가져오기만 한다. 예.. 2022. 11. 30. 머지(Merge)의 두가지 종류(Fast-forward & 3-way)와 규칙 머지(Merge)는 일정한 규칙을 가지고 이루어지는데, 이 규칙에 따라 두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오늘은 이러한 머지의 규칙과 종류에 대해서 포스팅해보려고 한다. 머지(Merge)의 규칙 머지를 할 때 컨플릭트(Conflict)가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컨플릭트가 발생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이미 알고 있지만, 그렇다면 git은 어떤 규칙으로 파일을 합치는 것일까? 머지는 아래 두가지 규칙에 따라 이루어진다고 한다. 브랜치의 가지가 갈라져 나온 시점의 커밋 내용과 비교했을 때, 달라진 부분이 있다면 우선하여 적용 만약 두 브랜치에서 동일한 부분에 변화가 있다면, git은 어떤 것을 우선시해야 할지 판단하지 못함 → 컨플릭트를 발생시켜서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도록 유도 머지(Merge)의 종류 위의 규.. 2022. 11. 23. Git 명령어 도움말 실행 - 의미 & 사용법 더 알아보기(git help) Git을 공부하다 보면 git add, git commit, git status 등 다양한 명령어에 대해서 배우게 된다. 이러한 명령어들의 의미, 사용법 등을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우리가 특정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도움말을 찾아서 볼 수 있듯이, 터미널에서도 git 명령어에 대한 도움말을 실행할 수 있다. Git 명령어 도움말 보기 Git 명령어 도움말을 실행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git help [명령어] 또는 man git-[명령어] 를 입력해서 실행하면 되는데 [명령어] 자리에 git 뒤에 오는 명령어 알파벳을 입력하면 된다. 대괄호는 구분하기 쉽도록 사용한 것으로 실제 터미널에서는 함께 쓰지 않도록 한다. 쉽고 빠른 이해를 위한 예제 한가지! 변경한 파일을 Staging Are.. 2022. 9. 1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