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파이썬자료형3

파이썬 사전 or 딕셔너리(dictionary) 자료형 파이썬에는 딕셔너리(dictionary, 한글로는 '사전') 자료형이 있다. 이 자료형은 리스트와 비슷하지만 키와 값이 한 쌍을 이루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딕셔너리 자료형을 만드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my_numbers = { 1: 1, 2: 4, 3: 9, 4: 16 } 변수명을 지정하고 중괄호 안에 "키(key): 값(value)"의 형태로 나열한다. 리스트와 마찬가지로 키를 이용한 인덱싱이 가능하다. 또 새로운 요소를 추가할 수도 있다. print(type(my_numbers)) # 결과값 'dict' 출력 print(my_dictionary[3]) # 결과값 9 my_dictionary[5] = 25 # 사전의 맨 뒤에 5: 25 요소가 추가됨 키와 값이 반드시 숫자일 필요도 없다. my_cla.. 2021. 6. 21.
파이썬 불린(Boolean)과 and, or, not 불린(Boolean)은 참과 거짓을 표현하는 자료형 타입이다. 오늘은 처음 보면 헷갈리고, 두번 보면 조금 알겠고, 세번 보면 고개를 끄덕이게 되는 불린과 and, or, not에 대해서 정리해보려고 한다. 아래 예제를 통해서 알아보자. print(True and True) # 결과값 True print(True and False) # 결과값 False print(False and False) # 결과값 False print(True or True) # 결과값 True print(True or False) # 결과값 True print(False or False) # 결과값 False and는 두 개 모두가 참이여야 True 값을 보여주지만 or는 두개 중 하나만 참이여도 True 값을 볼 수 있다. p.. 2021. 6. 10.
프로그래밍의 자료형 파이썬(프로그래밍)의 자료형에는 총 4가지 타입이 있다. 프로그래밍 공부에 있어 매우 기초적인 내용이므로 꼭 알아두어야 한다. 프로그래밍의 자료형 정수(Integer) : 양/음의 정수, 0 선언 형태는 data=1 ex) -3, 0, 2, 3 소수(Floating Point) : 실수형, 소수점이 포함된 실수 선언 형태는 data=9.0 ex) 1.4, 2.0, 3.7 문자열(String) : 따옴표('," 모두 해당)에 들어가 있는 문자형 선언 형태는 data='abc' ex) hello, world, "3" 불린(Boolean) : 논리, 참(True) 또는 거짓(False)을 표현 선언 형태는 data=True ex) 10 > 8 → True, 10 < 8 → False Q. 문자열을 표현할 때 .. 2021. 5.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