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학습일기2 코드잇 학습일기 day5. 자바스크립트 Status Code와 Content-Type 헤더 지난 포스팅에서는 Request(요청)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Response(응답)에 대해서 정리해보려고 한다. Response의 구조도 Head, Body로 이루어져있는데, Head에는 Response에 대한 부가 정보가 담겨 있고, Body에는 실제 데이터(주로 JSON 데이터)가 담겨 있다. Status Code란 무엇인가? 웹 브라우저의 개발자 도구 > Network 탭 > 특정 항목 선택 > General 부분에서 Status Code를 찾을 수 있다. Status Code는 우리말로 '상태 코드'라고 한다. 아래 이미지의 경우 Status Code: 200 이라고 되어있는데, 200은 정상 처리를 했다는 의미이다. 만약 정상 처리되지 못했다면 다른 숫자를 보게 된다. 대표적인.. 2023. 2. 13. 코드잇 학습일기 day3. JSON 데이터 자바스크립트 객체 변환, Request와 메소드 종류 한 주의 시작은 코드잇으로~ 원래 하루에 강의 한개씩은 꼬박꼬박 듣고 있었기 때문에, 습관적인 면에서는 어렵지 않지만... 하루에 다섯개 강의를 들어야 하는 것은 조금 부담이다. 그래도 일주일에 두 번 정도라면, 업무가 바쁘지 않은 날이나 점심시간을 이용해서 들을 만 하다. JSON 데이터 자바스크립트 객체로 변환하기 어떤 변수의 데이터 타입을 확인할 때에는 typeof 연산자를 사용하면 된다. 위와 같이 typeof 연산자를 사용하면 JSON 데이터가 string 타입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데이터가 string 타입이라면 작업하는 것이 쉽지 않다. 다행히도 string 타입의 JSON 데이터는 그대로 자바스크립트 객체로 변환할 수 있다. 위와 같은 JSON 데이터에 parse 라는 메소드를 .. 2023. 2. 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