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연말정산2 2022 연말정산 소득공제 - 주택자금 관련(청약저축/대출이자) 이번 포스팅에서는 연말정산 소득공제 항목 중에서 주택자금과 관련된 사항들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주택을 임차하여 매달 월세를 내고 있는 경우에도 연말정산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는데 이는 소득공제 혜택이 아닌 세액공제 혜택이기 때문에 추후에 별도로 정리할 예정이다. 이번 포스팅에서 확인할 수 있는 사항은 아래와 같다. 주택청약저축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 주택마련저축 소득공제 주택 임차를 목적으로 대출을 받은 경우(전세자금대출, 월세 보증금) - 주택임차차입금 원리금상환액 공제 주택 구입을 목적으로 대출을 받은 경우 -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 공제 | 주택마련저축 소득공제 많은 직장인들이 주택 구입을 위해 주택마련저축(청약저축)에 가입하고 매월 일정금액을 납입하고 있을 것이다. 이렇게 주택청약저축에 .. 2022. 1. 20. 연말정산 서류준비 TIP (2) 전세/월세로 거주하고 있다면? 현재 전세 또는 월세로 거주하고 있는 직장인들이 연말정산 시에 체크해보아야 하는 부분이 있다. 크게 두가지로 나뉘는데 첫번째는 전/월세 보증금 대출과 관련된 부분이고 (대출을 받지 않았다면 해당사항 없음) 두번째는 매월 납부한 월세와 관련된 부분이다. 보증금을 대출받고 매월 월세를 납부하는 경우라면 두가지 모두 해당된다. 각각 필요한 서류를 정리해보려고 한다. 보증금 대출을 받은 경우 - 주택임차차입금 원리금상환액 소득공제 보증금 대출은 금융기관(은행) 또는 개인에게 받을 수 있는데, 두가지 요건이 조금 다르다. [금융기관에서 대출받은 경우] 아마도 대부분의 경우 은행을 통해서 대출을 받았으리라 생각된다. 금융기관으로부터 차입한 경우 공제요건은 아래와 같다. - 12월 31일 현재 무주택 세대주 - 국민.. 2021. 1. 2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