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자열포맷팅2

문자열 포맷팅 f-string f-string은 파이썬 3.6 버전부터 사용할 수 있게 된 문자열 포맷팅 방법이라고 하는데, 사용방법이 이전보다 훨씬 더 간단해진 것 같아서 마음에 든다. 방법을 설명해보자면... 출력하고 싶은 내용 앞에 f를 쓰고, 변수값을 뒤에 따로 나열할 필요 없이 중괄호 안에 {변수명}의 형태로 넣으면 된다. 아래 예시를 통해서 활용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nickname = "해이나" post = 112 blog_title = "디지털 노마드" introduce = f"제 닉네임은 {nickname}이고, {blog_title}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아직까지 {post}개의 게시물을 작성했어요." print(introduce) # 결과값은 아래와 같이 출력 # 제 닉네임은 해이나이고, 디지털 노마드 블로.. 2021. 6. 6.
자료형 변환 & 문자열 포맷팅 예시 자료형 변환, 문자열 포맷팅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예시들을 정리해 보았다. 자료형 변환 자료형 변환이란 데이터 타입을 바꾸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기존에 소수였던 값을 정수로, 문자열을 소수로 바꾸는 등 원하는대로 자료형을 바꾸어 출력할 수 있다. 단, 숫자가 아닌 문자는 정수형이 될 수 없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한다는 점을 기억해 두도록 하자. print(int(1.7)) #결과값 1 print(float(5)) #결과값 5.0 print(int("2") + int("7")) #문자열을 정수형으로 바꾼 것, 결과값 9 print(float("1.6") + float("4")) #문자열을 소수형으로 바꾼 것, 결과값 5.6 print(str(2) + str(8)) #숫자를 문자열로 바꾼 것, 결과값.. 2021. 6.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