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45 피그마 프로토타입 (3) 애니메이션 설정하기 지난 포스팅에서 피그마 프로그램으로 웹 프로토타입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했었다. 2023.02.16 - [디자인/Figma] - 피그마 프로토타입 (1) 기본 화면 살펴보기 2023.02.17 - [디자인/Figma] - 피그마 프로토타입 (2) 인터렉션 트리거, 액션 설정하기 오늘은 인터렉션 트리거, 액션 설정에 이어 애니메이션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피그마에서 제공하는 프로토타입 기능을 제대로 배워두면, 별도 프로토타입 제작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아도 충분히 멋진 ui 프로토타입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한다. 애니메이션은 아래와 같이 액션이 None 상태일때는 설정할 수 없다. (당연하잖아?) 어떻게 움직이게 할 것인지 선택을 해야 하단에 애니메이션 항목이 보여진다. 나는 액션을.. 2023. 3. 2. 한 달에 한 번은 점심 회식~ 오늘은 판교맛집 장모밥상! 내가 다니는 디자인팀 구성원은 총 4명이다. 판교 음식점은 물가가 비싼 편이라, 우리는 보통 점심식사로 도시락을 싸 오거나 샐러드 등을 배달시켜 먹는다. 프레시코드 등 다양한 온라인 배송 업체를 도장깨기 하는 중인데, 이 포스팅을 쓰고 있는 현재에는 '위잇딜라이트'라는 업체에 드러누워있는 상태다. 금액 대비 가성비도 좋고, 배송도 빠르고 정확해서 마음에 든다. 한동안은 점심 배송 업체를 바꾸지 않을 것 같다. 그리고 한 달에 한 번은 점심 회식을 한다. (이걸 회식이라고 불러야 하나?) 매월 각 팀에 지급되는,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책임 리더님께 지급되는 티타임비를 이용해서 외식을 한다. 우리가 자주 가는 맛있는 생선구이집이 운중동에 한 곳 있는데... 가는날이 장날이라고 오늘은 건물 리모델링 중이어서 .. 2023. 2. 28. 코드잇 학습일기 Day8. rejected 상태에서 실행하는 콜백, then 메소드 이해 코딩인강 코드잇의 챌린지 이벤트, 마지막 학습일기 포스팅이다. 회사를 다니며 학습일기를 써야한다는 게 부담스럽게 느껴질 때도 있었지만 그래도 덕분에 하루에 다섯개씩 강의를 들을 수 있었다. 왠지 마지막이라고 하니까 시원섭섭한 기분이 든다. 나중에 회사 업무에 여유가 생기면 꼭 이벤트가 아니더라도 셀프 챌린지를 해봐도 좋겠다는 생각이다. 오늘 공부한 내용은 rejected 상태에서 실행할 콜백을 지정하는 방법과 then 메소드에 관한 것이었다. 자바스크립트를 공부하는 분들을 위해 포스팅으로 정리해 보도록 하겠다. Promise 객체가 Rejected 상태일 때 실행하는 콜백 지정 Promise 객체가 갖는 상태값은 pending, fulfilled, rejected - 총 3개이다.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2023. 2. 22. 코드잇 학습일기 Day7. Promise 객체와 Promise Chaining 벌써 코드잇 학습일기 챌린지 마지막 주가 되었다. 시간이 정말 빠른 것 같다. 그리고 한달이 다 되어가는데 아무리 회사 업무가 바쁘다지만 나는 토픽 하나도 제대로 끝내지 못하고... 그렇다고 자바스크립트 웹 기본기를 잘 다졌냐고 물으면 그것도 자신이 없고... 솔직히 조금 속상하다. 그래도 포기하지 않으면 언젠가는 잘 할 수 있게 되리라 믿으며, 오늘도 코딩 인강 시작! fetch 함수는 promise 객체를 리턴한다고 한다. 그렇다면 promise 객체는 무엇일까? Promise 객체란? 어떤 작업에 대한 '상태 정보'를 가지고 있는 객체이다. 예를 들어 fetch 함수를 보내면 성공할 수도 있고, 실패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정보들이 promise 객체에 저장된다. promise 객체는 3개의 상태 정.. 2023. 2. 20. 피그마 프로토타입 (2) 인터렉션 트리거, 액션 설정하기 이전 포스팅에서 피그마 프로토타입 화면의 기본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다. 2023.02.16 - [디자인/Figma] - 피그마 프로토타입 (1) 기본 화면 살펴보기 이제부터는 프로토타입 메뉴의 설정 옵션들에 대해서 하나씩 자세히 설명하려고 한다. 예제가 필요할 듯 하여 빨간색, 노란색 박스가 들어있는 화면 두 개를 준비했다. 화살표 형태의 커넥션을 선택하면 인터렉션과 애니메이션을 설정할 수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애니메이션은 제외하고, 먼저 Interaction details 부분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첫번째 On tap 이라고 되어 있는 부분은 '트리거' 라고 불리는데, 이 곳에서 클릭, 드래그, 마우스 오버와 같은 트리거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트리거 종류별 움직임은 아래와 같다. Non.. 2023. 2. 17. 피그마 프로토타입 (1) 기본 화면 살펴보기 오늘은 피그마에서 프로토타입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해보려고 한다. 피그마 화면 우측에는 Prototype 탭이 있다. 프레임 두개를 생성한 후에 Prototype 탭을 선택하고 첫번째 프레임에 마우스를 올리니 아래 이미지처럼 포인트가 표시되었다. 첫번째 프레임의 포인트에서 두번째 프레임으로 드래그를 하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화살표와 함께 Prototype 탭화면에 여러가지 항목들이 생긴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각 요소들에 대해서 좀 더 알아보도록 하겠다. 핫스팟 : 사용자의 인터렉션이 시작하는 위치이다. 커넥션 : 두 프레임 사이의 에니메이션, 인터렉션을 연결하는 화살표이다. 데스티네이션 : 변경된 결과 화면을 가리킨다. 그리고 커넥션(화살표)을 선택하면 Prototype 화면에 다양한 옵션이 .. 2023. 2. 16. 코드잇 학습일기 Day6. Ajax, PATCH/HEAD 메소드, fetch함수, 동기/비동기 실행 오늘 아침은 코드잇 강의로 시작~ 학습일기를 시작한지가 엊그제 같은데 벌써 여섯번째 학습일기이다. 3주가 지났다니... 시간이 정말 빠르다. 오늘은 다양한 메소드와 fetch함수, 비동기 실행의 개념에 대해서 배웠다. Ajax란 무엇인가? Ajax는 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의 줄임말이다. 이 기술은 웹 브라우저가 현재 페이지를 그대로 유지한 채로 서버에 리퀘스트를 보내고 리스폰스를 받아, 새로운 페이지를 로드하지 않고도 변화를 줄 수 있도록 한다. 네이버 지도에서 특정 좌표를 클릭했을 때 전체 페이지가 로드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좌표의 업체 정보만 추가로 보여지는 것을 예시로 들 수 있다. PATCH 메소드 역할 기존의 데이터를 수정할 때 사용한다. PUT과는 차이점이 .. 2023. 2. 15. 코드잇 학습일기 day5. 자바스크립트 Status Code와 Content-Type 헤더 지난 포스팅에서는 Request(요청)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Response(응답)에 대해서 정리해보려고 한다. Response의 구조도 Head, Body로 이루어져있는데, Head에는 Response에 대한 부가 정보가 담겨 있고, Body에는 실제 데이터(주로 JSON 데이터)가 담겨 있다. Status Code란 무엇인가? 웹 브라우저의 개발자 도구 > Network 탭 > 특정 항목 선택 > General 부분에서 Status Code를 찾을 수 있다. Status Code는 우리말로 '상태 코드'라고 한다. 아래 이미지의 경우 Status Code: 200 이라고 되어있는데, 200은 정상 처리를 했다는 의미이다. 만약 정상 처리되지 못했다면 다른 숫자를 보게 된다. 대표적인.. 2023. 2. 13. 코드잇 학습일기 day4. 각각의 Request 보내는 방법 오늘은 출근길에 코드잇 강의를 7개 들었다. 그리고는 '이따가 출근해서 시간날 때 블로그에 학습일기 써야지' 하고 생각했는데, 이것저것 각종 업무들을 처리하다보니 퇴근시간이 10분밖에 남지 않았다. 오늘은 저녁에 일정이 있어서 퇴근시간을 꼭 지켜야 하는 상황... 그래서 각각의 Request 보내는 방법만 간략하게 정리하고, 추가로 알고있으면 좋은 개념들은 다음 포스팅에 다시 쓰는걸로...! GET Request 보내기 이제 GET Request 보내는 방법은 넘나 익숙해서 안보고도 쓸 수 있을 것 같다. fetch('url') .then((response) => response.text()) .then((result) => { console.log(result); }); POST Request 보내기 .. 2023. 2. 9. 코드잇 학습일기 day3. JSON 데이터 자바스크립트 객체 변환, Request와 메소드 종류 한 주의 시작은 코드잇으로~ 원래 하루에 강의 한개씩은 꼬박꼬박 듣고 있었기 때문에, 습관적인 면에서는 어렵지 않지만... 하루에 다섯개 강의를 들어야 하는 것은 조금 부담이다. 그래도 일주일에 두 번 정도라면, 업무가 바쁘지 않은 날이나 점심시간을 이용해서 들을 만 하다. JSON 데이터 자바스크립트 객체로 변환하기 어떤 변수의 데이터 타입을 확인할 때에는 typeof 연산자를 사용하면 된다. 위와 같이 typeof 연산자를 사용하면 JSON 데이터가 string 타입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데이터가 string 타입이라면 작업하는 것이 쉽지 않다. 다행히도 string 타입의 JSON 데이터는 그대로 자바스크립트 객체로 변환할 수 있다. 위와 같은 JSON 데이터에 parse 라는 메소드를 .. 2023. 2. 6. 이전 1 2 3 4 5 6 7 ··· 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