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미널에서 디렉토리의 내용물을 알고 싶을 때 사용하는 커맨드는 ls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ls에서 자주 사용하는 옵션에 대해서 소개하도록 하겠다.
a 옵션
a는 all(모두)의 약자이다. 유닉스 파일 시스템에는 숨겨진 파일이 있는데, 이름이 . 으로 시작하고 확장자가 없는 파일들이다. 이러한 파일들은 ls 커맨드를 입력하거나 GUI 툴을 이용할 때에는 보이지 않는다.
이 숨겨져 있는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를 확인하고 싶다면, a 옵션을 추가하여 ls -a 커맨드를 실행하면 된다. 아래 이미지는 동일한 디렉토리에서 -a 옵션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와 사용했을 때를 비교한 것이다.
l 옵션
ls 커맨드를 사용해서 출력되는 결과물은 이름만 나오기 때문에 무엇이 디렉토리(폴더)이고 무엇이 파일인지 구별할 수가 없다. 좀 더 자세한 정보를 알고 싶다면 l 옵션을 사용하면 된다. 참고로 l은 long format을 의미한다.
참고로 두가지 옵션을 동시에 사용해서 ls -al 을 입력하고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숨겨진 파일을 포함한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ls -l 에서 보여지는 추가 정보 의미
ls -l을 실행했을 때에 보여지는 추가 정보들의 의미를 알아보도록 하자.
- 먼저 첫번째 줄에 있는 total은 디렉토리의 내용물이 얼마나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지를 말해준다.
- 다음으로 파일의 첫번째 컬럼에서 첫 글자는 파일의 종류를 나타내고, 나머지 글자는 권한과 관련된 내용이다. d로 시작하면 디렉토리, -로 시작하면 일반 파일이라는 의미이다.
- 두번째 컬럼은 이 파일과 연결된 링크의 개수를 가리킨다.
- 세번째 컬럼은 파일의 소유자이다.
- 네번째 컬럼은 소유자가 속한 그룹이다. 위의 이미지를 예로 들면, 0_스티커-13.png 파일의 소유자는 zoe.lee 이며, 이 소유자는 staff 그룹에 속해있다.
- 다섯번째 컬럼은 파일이 몇 바이트인지 알려준다. 디렉토리의 경우에는 용량이 아니므로 큰 의미를 둘 필요는 없다.
- 용량에 이어 파일의 수정 날짜와 시간이 보여진다.
- 마지막 컬럼은 파일, 디렉토리 이름이다.
'개발 도구 > 유닉스 커맨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CLI 전용 에디터 - Vim 사용 방법과 단축키 안내 (0) | 2023.05.20 |
---|---|
디렉토리와 파일 생성하기 - mkdir, touch (0) | 2023.05.19 |
절대 경로 vs 상대 경로 (0) | 2023.05.09 |
파일과 디렉토리 살펴볼 때 사용하는 기본 커맨드(pwd, cd, ls) (0) | 2023.05.08 |
댓글0